고소득층-고가주택은 15년 소요…작년 12월 상·하위층 '소득 대비 집값' 격차 집계 후 최대

▲ 개미마을.서대문구 홍제3동 산9-81 산기슭에 위치한 마을로 서울의 몇 남지 않은 달동네 가운데 한 곳이다. 낙후된 개미마을을 개선하기 위해 2009년 금호건설이 기획한 '빛 그린 어울림 마을'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지금은 서울의 유명한 벽화마을로 알려져 있다. 210여 가구의 주민 420여 명이 살고 있다. 사진은 개미마을의 여러 모습이다.

서울에 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체감 집값이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계층 간 가구 소득 격차가 커진 탓에 체감 집값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는 분석이다.

26일 KB 주택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해 12월 연 소득(명목) 하위 20%인 1분위 가구(2인이상·도시가구)의 서울 주택 가격(KB시세) 1분위 기준 PIR(소득 대비 주택가격·Price to income ratio)은 21.0이었다.

이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가 소득 수준과 비슷한 하위 20% 가격의 주택을 사려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21년간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PIR은 실제로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간과 차이가 있지만, 소득과 비교한 주택 가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흔히 체감 집값 지표로 활용된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가격 상위 20% 주택을 지출 없이 살 수 있는 기간(PIR)은 14.6년이었다.

결국 고소득층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PIR 차이는 6.4년이었다.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크다.

같은 분위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한 1·5분위 가구 간 PIR 격차는 2008년 12월 5.2를 기록한 뒤 꾸준히 하락세를 유지해 2017년 12월에는 2.0까지 내려갔다.

소득 차이에도 각자의 소득 수준에 걸맞은 집을 사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2년 정도 차이에 그쳤다는 의미다.

하지만 지난해 전년 동기 대비 높은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분배 악화까지 심화하면서 분위별 PIR 격차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졌다.

그만큼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집값이 최근 들어 고소득층에 비교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KB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전국의 주택가격 상승률은 3.16%였다. 지난해 말 대출 규제 등으로 상승세가 둔화했음에도 11·10월에 이어 연중 세 번째로 높았다.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계 소득(명목·전국)은 1년 전보다 17.7%나 줄어든 반면 5분위 가계 소득은 10.4%나 껑충 뛰었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세정일보]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