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4일 서울시내 면세점 신규 사업자 입찰, 면세점 '빅3' 불참 예고

4년 전 '면세 대전' 분위기와 딴판, 면세점마다 보따리상 수수료 급증 수익 악화
 

'황금알 낳는 거위'로 일컬었던 면세점 사업이 4년만에 별 볼 일 없는 사업으로 추락하고 말았다.

11일 유통업계에서는 관세청이 이날부터 오는 14일까지 나흘간 진행하는 서울시내 면세점 신규 사업자 입찰을 놓고 국내 면세점 '빅3(롯데·신라·신세계)'가 불참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지난 2015년 신규 입찰 때와는 판도가 사뭇 달라졌다고 보고 있다.

이번 입찰은 관세청이 서울 3곳, 광주 1곳, 인천 1곳, 충남 1곳 등 전국에 걸쳐 6곳의 신규 사업권을 내놨지만, 이 중 서울시내 면세점 사업자 선정 절차에 면세점 '빅3'의 불참이 예정된 가운데 흥행 실패가 불가피해졌다.

롯데·신라면세점 측은 입찰참가 여부에 대해서 말을 아끼면서도 공통적으로 "참가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말을 전했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시내 면세점 입찰에 참가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다른 면세점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면세 사업권을 남발하면서 몇년 사이 면세점이 너무 많아졌다"며 "기존 운영하던 사업도 접을 판이라 입찰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익성 악화로 인해 올해 한화갤러리아와 두산이 면세점 사업권을 포기했다.

다만 지난해 11월 후발주자로 나선 현대백화점면세점이 ㈜두산이 반납한 면세점 인수를 위해 협상에 들어갔다. 현재 무역센터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현대백화점면세점은 현대백화점면세점 '2호점' 후보지를 두타면세점이 위치한 두산타워로 낙점하고 관세청으로부터 특허 승인을 위해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두산의 면세점 특허를 넘겨받지 않고 새로 특허 사업권을 획득할 계획이다. 어차피 관세청의 승인 과정이 필요하고 2년뒤 갱신심사를 다시 받느니 신규 사업권을 획득해 특허기간을 늘린다는 계산이다.

4년전 만 해도 면세점 상황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고 까지 불리며 롯데·신라·신세계를 포함한 SK·한화·이랜드·현대백화점 등 7곳이 뛰어들어 접전을 펼쳤었다. 한화 등 선정된 기업을 두고 특혜 시비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관세청은 이듬해 면세점 4곳에 사업권을 추가로 내주기도 했다.

그러면서 최근 4년동안 서울시내 면세점은 6개에서 13개로 불어났다.

그러나 2017년 사드배치 사태 이후 면세점 업계에서 '큰손' 역할을 하던 중국인 단체관광객(요우커)가 줄어들고, 대신 따이공(代工)으로 불리는 보따리상이 그 자리를 메웠다. B2C(기업과 소비자 거래)에서 B2B(기업 간 거래)로 바뀐 것이다.

지난해 국내 면세점 매출 18조9602억원의 73.4%를 중국인이 올렸다. 중국인 매출의 80% 이상을 따이공이 올렸다. 면세점 업체들이 더 많은 따이공을 끌어들이기 위한 유치 수수료(고객 유치를 위해 여행사에 내는 수수료) 탓에 영업이익을 깎아먹었다.

올 상반기 대기업 면세점의 수수료가 6369억원에 이르러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유치 수수료가 매출의 최대 4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세점마다 전체 고객의 80%에 달하는 따이공을 끌어오기 위한 출혈 경쟁 속에서 매출은 늘었지만 그만큼 유치 수수료는 가중됐다. 경쟁력이 부족한 신규 면세점들은 적자를 면치 못했다.

2015년 치열했던 '면세 대전' 이후 '승자의 저주'를 고스란히 치룬 셈이다.

더욱이 광주의 경우 아직까지 후보자가 아직까지 나오지 않은 상황이어서 마감날까지 투자기업이 나타나지 않으면 면허를 반납해야 할 상황이 되고 만다.

일선에서는 정부 정책을 문제 삼으며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관광 인프라 및 기업혁신투자 중심의 투자 활성화’를 이유로 들어 면세점 진입 장벽을 낮췄다.

면세점업계 관계자는 "무조건 면세점 수를 늘려놓는다고 관광객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라며 "정부 차원에서 면세점 쇼핑이 아니더라 외국인 관광을 활성화하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세정일보]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