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신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MBTI’ 검사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성향인지 등 자기 자신에 대해 성향을 파악할 수 있어 소소한 재미가 되고 있는데, 과거 국세청 직원들에게 MBTI를 실시해보아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국세청이 지난 2018년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국세청: 리더십-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용역’ 자료는 MBTI 검사처럼 개인의 성격과 심리유형을 이해할 수 있는 검사를 활용해 함께 일하는 동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것이 의사소통 역량을 더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국세청 내부의 조직문화가 급변하면서 기성세대와 신규세대간 서로를 이해하지 못해 세대격차문제가 심화되고 있는데, 이에 연구용역 자료에서 소개하고 있는 관리자 유형 3가지와 직원 유형 3가지의 내용을 발췌했다.

누군가가 조롱과 조소 등의 내용이 담긴 공격적인 유머를 한다면, 그는 리더십이 낮고, ‘번아웃 증후군’ 현상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서로에 대해 이해가 되지 않을 때 한 번 더 상대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를 해보면 어떨까. -편집자 주-

국세청: 리더십·소통역량 강화위한 연구용역(2018) 자료발췌

[직원들 유형 제1편] ‘회피형’

높은 이직의도를 가지고 있다. 공직자 스트레스가 높고 번아웃도 높다.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객 관련 스트레스와 민원문제를 높게 지각하고 있다.

번아웃, 이직의도와 같은 부정적 심리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원의 관리를 위해, 조직차원에서는 고객관련 업무를 세분화해 직원들에게 합리적이고 균형있게 배정해 직원들의 불만 해소 및 근무 의욕을 고취시켜줄 필요가 있다.

업무 특성상 민원인과 상호작용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원의 완전한 제거는 불가능함으로, 조직 차원의 해결방안 외에 개인 차원에서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스트레스 조절 능력 함양과 스트레스 관리법 교육,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 변화와 관련된 교육이 필요하다.

▲ [국세청 '리더십·소통역량 강화위한 연구용역(2018)' 자료 캡처]
저작권자 © 세정일보 [세정일보]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