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청은 2일 서울 논현동 서울세관에서 자동차 수출기업의 원산지검증 부담을 완화하고, FTA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원산지검증대응 간담회’를 개최했다.

◆ 서울 논현동 서울세관에서 열린 ‘원산지검증대응 간담회’에서 이명구 관세청 FTA집행기획관(오른쪽 줄 오른쪽에서 3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서울 논현동 서울세관에서 열린 ‘원산지검증대응 간담회’에서 이명구 관세청 FTA집행기획관(앞줄 오른쪽에서 5번째)과 임덕정 현대다이모스 이사(앞줄 왼쪽에서 5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일 5개 자동차 수출기업과 ‘원산지검증대응 간담회’ 개최

“정부와 기업 동심동덕(同心同德)으로 경제 신바람 일으키자”

관세청은 2일 서울세관에서 자동차 수출기업의 원산지검증 부담을 완화하고, 자유무역협정(이하 FTA)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원산지검증대응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지엠대우, 르노삼성, 쌍용자동차 등 자동차 생산업체 5개사와 자동차 부품 수출업체 (10개)뿐만 아니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도 참석하여 원산지검증 대응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표명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관세청은 자동차 산업에 대한 원산지검증사례와 해외 통관애로사항, 미국?유럽연합(이하 EU) 등 거대경제권과 원산지검증 대응을 위해 수출기업이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를 안내하고, 최근 최종서명이 완료된 캐나다, 호주와의 FTA 협정에서 자동차분야 주요 협상내용을 설명하여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관세청은 이 자리에서 FTA 교역확대에 따라 체약 상대국의 원산지검증 역시 계속 증가하고 있고, 검증결과 원산지규정 위반비율은 약 8% 수준이며, 국내경제에 파급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의 특성상 철저한 원산지검증 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자동차?자동차 부품 산업은 국내 전체 수출액의 13%를 차지하며, 점차 그 비중이 확대되고 있고, 특히 수출액의 절반이상을 FTA 체약상대국으로 수출하여 대표적인 FTA 수혜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관세청은 정부와 기업 모두 동심동덕(同心同德)의 자세로, 우리 경제에 신(新)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원산지검증에 대비할 것을 강조하면서 원산지검증에 대비하여 관세청을 적극 활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관세청은 앞으로도 주요 수출산업에 대한 간담회와 설명회를 전국적으로 개최하여 기업의 원산지검증 대비를 적극 지원하는 한편 ‘관세청 FTA 종합상담센터(YES FTA 센터)’를 통해 FTA 맞춤형 상담(컨설팅), 원산지관리시스템(FTA-PASS) 보급, 해외통관 애로 해결, 검증 준비 지원 등 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