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회(정구정 회장)가 지난 14일 상임이사회를 열어 내달 실시되는 제28대 회장선거를 위한 선거관리규정을 개정한 가운데 다른 후보자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선거규정 개정소식을 전해들은 예비후보들은 한마디로 후보자들이 ‘나 나왔소’ 하고 회원들에게 알릴 수 있는 수단을 원천적으로 차단했다며 공정선거를 위한 비상대책위를 구성, 공동대응키로 하는 등 예상외로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세무사업계에 따르면 이날 개정된 선거규정은 지난 선거때까지 허용돼 오던 휴대전화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발송, 언론과의 인터뷰 행위를 못하도록 했다. 또 후보자들이 회원들에게 자신을 가장 강하게 어필할 수 있는 소견발표 시간까지 전년의 절반이상(15분→7분) 줄여버렸다.
문자발송의 경우 모두 틀어막은 것은 아니지만 각 후보자들이 문자 발송을 원할 경우 홍보내용을 사전에 선관위에 보내 선관위가 대신 발송해 주도록 했으나 오히려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는 비판이 뒤따르고 있다.
특히 예비후보들은 소견발표 시간을 절반 이상으로 줄인 것은 물론 회원들의 투표시간까지 소견발표전부터 가능하게끔 함으로써 ‘빅 쇼’가 되어야 할 소견발표 시간이 김 빠진 연설장이 될 것이라며, 크게 당황하는 모습이다.
이와 함께 야권후보들의 마지막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언론을 통한 인터뷰 행위까지 선거운동의 제한행위로 규정하면서 세무사업계의 소식을 다루고 있는 전문지들도 크게 당황하는 눈치다.
피 말리는 선거전에서 미세한 변화도 당락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에 개정된 선거규정은 분명 야권후보들에게는 적지 않은 제약요소로 작용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예비후보들이 집단 반발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라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야권후보들에 남은 선거운동 수단은 선관위에서 공식적으로 발송하는 선거공보(소견문)외에 1회에 한하여 회원사무소를 방문할 수 있고, 전화를 이용한 지지호소 뿐이다. 너무 초라해진 모양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세무사회에 물어봤다.
세무사회는 이번 선거관리규정 개정과 관련 언론인터뷰나 문자발송의 제한조치는 깨끗한 선거를 위해 상대후보를 비방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행위 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였다는 설명이다. 또 소견발표 시간을 축소 한 것은 소견발표 시간이 무려 3시간이나 소요되는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세무사회에 따르면 실제로 선거당일 소견발표가 이뤄지면 회장 후보자, 윤리위원장, 감사, 지방회장 후보자까지 줄줄이 연설을 하는 시간을 계산하면 족히 3시간이상 걸린다면서 원활한 투표와 정기총회를 위해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세무사회는 후보자들의 공탁금과 관련 회장후보자에 대한 공탁금을 1천만원 감액한 것은 ‘총액 5천만원’(회장 3천, 부회장 2명 각 1천만원)이라는 전례를 따르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런 세무사회의 해명에도 야권후보들의 선거운동을 지나치게 제한했다는 비판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또 왜 회계사회, 변호사회도 하는 동영상 소견발표를 도입하지 못했을까? 하는 의문도 남아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