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국세청은 문희철 차장, 송기봉 광주청장, 이청룡 대전청장의 명퇴에 따른 후속 고위직 인사를 단행한 가운데 임광현 차장과 5명의 지방청장이 바뀌었다.

서울청장에 임성빈 부산청장을 전보 발령했고, 중부국세청장에는 김재철 서울국세청 조사3국장을 임명했다. 이어 부산국세청장에는 김창기 중부국세청장을, 대전청장에는 강민수 국세청 법인납세국장을, 광주청장에는 이판식 부산청 징세송무국장을 각각 임명했다.

이로써 국세청은 문재인 정부 마지막 국세행정을 주무르게 될 라인업을 새로 편성했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출신지역별 안배’다.

소위 1급으로 불리는 고공단가급 4자리에 충청, TK, PK, 호남 출신이 각각 1명씩 고르게 배치된 것. 또 2급으로 불리는 지방청장 구도 역시 충청, TK, PK, 호남 출신이 각각 1명씩 안배되는 결과로 나타났다.

1급 4자리는 임광현 차장(충청), 임성빈 서울청장(부산), 김재철 중부청장(전남), 김창기 부산청장(경북)이 배치됐다. 2급 지방청장에는 오덕근 인천청장(충남-유임), 강민수 대전청장(경남), 이판식 광주청장(전남), 조정목 대구청장(경북-유임)이 자리를 잡았다.

세정가에서는 정권의 향배에 따라 국세청장을 비롯한 고위직들의 자리가 결정되어온 국세청 인사의 특성상 내년의 정치적 상황을 철저히 고려한 인사라고 분석했다. 지역별 ‘황금분할’ 구도를 만들어 놓은 것.

내년 3월 어떤 대권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국세청에서 후임 국세청장을 배출해 내겠다는 다분히 정치적 계산이 가미된 인사라는 분석인 것.

실제로 국세청은 대통령의 출신 지역에 따라 국세청장 역시 그 지역 출신이 임명되거나 실세로 자리매김되어 왔다. 김영삼 정부에서는 추경석(부산) 청장, 김대중 정부 안정남(전남), 노무현 정부 이주성(부산), 이명박 정부 이현동(경북), 박근혜 정부 임환수(경북), 문재인 정부 김대지(부산) 등이다.

이와함께 국세청 고위직 구도는 김재철 서울청 조사3국장(세무대 4기)을 1급 중부국세청장으로, 이판식 부산청 징세송무국장을 광주청장(세무대 4기)으로 발탁, 오덕근 인천청장과 함께 비고시 지방청장을 3인으로 늘리면서 국세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고시들을 나름대로 배려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그리고 이들 8명의 학력분포는 서울대와 비서울대가 ‘반반’의 비율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 마지막을 장식할 국세청 고위직 현황 (`21년 7월 5일자)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