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청와대 파견, 박근혜 정부 지하경제양성화TF팀장 등 맡아
윤석열 정부의 첫 국세청장으로 김창기 전 부산지방국세청장이 내정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김 내정자를 비롯해 차관급 21명에 대한 인선을 발표했다.
김 국세청장 내정자는 지난해 12월 31일, 27년간의 공직생활을 마감한지 5개월 만에 화려하게 복귀하게된 것이다.
특히 국세청의 반백년 역사상 국세청 현직자가 아닌 퇴직자가 국세청장에 내정된 것은 최초의 사건이다. 그가 퇴직자 신분에도 국세청장에 내정될 수 있었던 것은 퇴직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 미취업상태로 이해충돌 가능성이 없었던 점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김창기 전 부산지방국세청장은 1967년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 청구고와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행정고시 37회로 1995년 제주세무서에서 총무과장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했으며 지난해 12월31일 부산지방국세청장으로 명예퇴직했다. 국세공무원 생활의 시작과 끝을 부산청에서 했고 퇴직 133일 만에 윤석열 정부 첫 국세청장으로 지명됐다.
그는 국세공무원 시절 본청에서 근무하다가 미국 일리노이주립대로 국비유학을 다녀왔고 초임서장으로는 안동세무서장을 지냈다. 이후 서울청 조사2-2과장을 맡았고 본청으로 들어와 세정홍보과장을 지냈다. 그리고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인사비서관실로 파견을 다녀왔다. 또한 박근혜 정부의 역점 추진사업인 지하경제 양성화의 실무자인 국세청 지하경제양성화TF 팀장도 맡았다. 이후에는 서울청 감사관, 부산청 징세법무국장, 미국 국세청 파견, 중부청 징세송무국장, 서울청 조사2국장, 국세청 감사관, 국세청 개인납세국장 등 요직에서 근무했다.
특히 본청 감사관으로 근무하던 2019년에는 국세청 우수공무원 포상(홍조근정훈장)을 받기도 했다. 그는 세정 취약분야에 대한 기획점검을 통해 납세자 불편사항에 대한 근본적인 제도 개선사항을 마련하고, 부조리 예방활동을 통해 공직기강을 확립하여 자율적 청렴문화 조성에 기여했다는 평을 얻었다.
그리고 2021년에는 중부지방국세청장과 부산지방국세청장 등 1급지 청장을 두 차례나 역임하는 기록을 세우고 퇴직했다. 당시 인사에서 중부청장 6개월 재직후 부산청장으로 사실상 하향전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용해 세정가에서는 동정론이 일었다.
한편 김창기 내정자의 재산은 중부청장 재임당시 18억원 가량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세종시 아름동에 2000만원의 전세가 있었고, 4억2448만원의 부부 공동명의의 서울시 강남구 디에이치자이개포 아파트를 보유 중이었다. 또한 배우자는 강남구 대치동의 우성아파트 전세(6억원)와 장남이 서울 관악구 신림동에 1000만원의 전세 임차 중이었다.
예금으로는 NH투자증권, 국민은행 등에 본인 1억7616만원, 배우자 1억9960만원, 장남 718만원, 차남 541만원, 삼남 692만원 등을 신고했다. 채무로는 본인 1억4000만원과 배우자 123만원의 금융채무가 있었다.
차량은 본인명의의 2009년식 소나타와 배우자의 2015년식 제네시스를 신고했으며 모친의 재산은 독립생계유지를 이유로 고지를 거부했다.
김 국세청장 후보자는 이달중으로 예상되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최종 임명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