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생계형 체납자는 탄력적 집행…영세사업자 세정지원 지속 추진 등” 당부

국세청, 장기·고질 체납자에 출석요구, 방문독촉, 압류·매각 등 징수활동 강화키로

[기획재정부 제공]
[기획재정부 제공]
[기획재정부 제공]
[기획재정부 제공]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17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체납세액 관리 관계기관 회의를 열어 국세청, 관세청의 체납세액 관리 계획을 보고받고, 두 기관에 체납세액 징수 등 정리실적 제고 노력을 당부했다.

회의는 어려운 경기여건 하에서 고액·상습 체납자로 인한 체납세액 증가가 공평한 세부담 원칙에 위배되고 일반 국민들의 성실납세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재정운용 측면에서도 세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인식하에서 개최됐다.

국세청 소관 체납액은 `21년 6월 98조7000억원에서 `21년 말 99조9000억원으로 늘었고, `22년에는 102조5000억원으로 100조원을 넘어섰다. 또한, 관세청 소관 체납액은 `20년 1조1000억원, `21년 1조6000억원, `22년 1조9000억원으로 증가추세다.

이 자리에서 추 부총리는 “체납액 징수는 성실하게 납세의무를 이행하는 대다수 국민에 대한 정부의 마땅한 의무로 성실납세가 결코 손해받는 느낌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세청장·관세청장에게 첨단 재산은닉 수법, 변칙적 조세회피 대응을 위한 기관 간 원활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탈세·체납 근절에 앞장선 일선 세무·관세 공무원들에게는 기관 차원의 격려·보상을 확대할 것 등을 당부했다.

국세청은 고액·상습 체납자에 대한 기획분석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현장징수를 강화하는 한편, 기존 지방청 전담조직 외 세무서에도 재산추적조사 전담반을 추가 편성하고, 단기·일시 체납자에 대한 모바일 납부독려 확대, 장기·고질 체납자에 대한 출석요구, 방문독촉, 압류·매각 등 징수활동을 강화한다.

관세청은 서울과 부산세관에 ‘125추적팀’이라는 전담팀을 중심으로 가택수색, 금융자산 조사 등을 통해 은닉재산 추적을 강화하고, ‘체납액 일제정리’를 6월부터 연말까지 상시 운영(기존 연 2회 일시 운영)해 강도 높은 체납정리 활동을 한다.

다만, 추 부총리는 생계형 체납자에 대해서는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집행할 것을 주문했으며, 최근 민생경제 어려움을 감안해서 영세사업자 및 수출‧투자기업에 대한 세정지원도 각별히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