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감찰 파트에서 ‘`22년 부패방지 의무교육 이수현황’을 공개한 가운데, 국세청 직원들의 이수율은 93.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세청에 따르면, 작년 한해 현원 2만1453명 중 1만9993명이 교육을 이수하며 93.2%의 이수율을 나타냈다.

특히 국세청 고위직의 경우 김창기 국세청장을 비롯 37명의 고위공무원단 전원이 교육을 이수하며 100%의 이수율을 보였다.

하지만 이 같은 높은 교육 이수율에도 부패방지 의무교육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세청 내부에서는 작년 불거진 전 서울청 징세관의 사례를 들며, 일부 고위직의 비위가 국세청 신뢰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앞서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전 서울청 징세관으로 근무했던 A 부이사관의 뇌물수수 혐의와 관련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작년 5월 부산지방국세청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이어 자택도 압수수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국세청 근무 당시 지역의 한 중견 철강업체인 B사의 세무조사 등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이 회사 대표와의 차용과정에서도 뇌물 수수 가능성이 높다는 의혹이다. 수사는 여전히 진행중이다.

이와함께 현재 모 세무서 과장(사무관)이 외부인으로부터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총리실에 적발돼 일명 김영란법 위반여부에 대한 조사를 받고 있다.

국세청 조직내에서는 고위직의 부패방지 의무교육 이수율이 100%라지만, 무엇보다 관리자로서 청렴 의식을 확고히 해야 한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다행히 국세청은 지난주 7개 지방청별로 열린 세무관서장회의에서 관리자의 청렴도 문제를 일제히 화두로 삼았다. 이 같은 분위기를 계기로 국세청 고위직의 비위 문제가 근절될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