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회계사, 변호사 등 고소득 전문직들도 AI(인공지능)로 대체될 위험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6일 ‘AI와 노동시장의 변화’를 주제로 한 BOK 이슈노트에서 “국내 일자리 중 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큰 일자리는 약 341만개로 전체 일자리의 12%”라며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기술과 달리 고소득·고학력 근로자가 AI에 더 많이 노출돼 있는데, 이는 AI가 비반복적·인지적(분석) 업무를 대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AI가 노동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AI 노출 지수가 높은 일자리일수록 고용이
줄어들고 임금 상승률도 낮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AI 노출 지수가 가장 높은 일자리에는 화학공학 기술자, 발전장치 조작원, 철도 및 전동차 기관사, 상하수도 및 재활용 처리 조작원, 금속재료 공학 기술자 등이 포함된다.
직업 세분류로 살펴보면, 대표적인 고소득 직업인 일반 의사(상위 1% 이내), 전문 의사(상위 7%), 회계사(상위 19%), 자산운용가(상위 19%), 변호사(상위 21%)는 AI 노출 지수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자(상위 86%), 성직자(상위 98%), 대학교수(상위 98%), 가수 및 성악가(99%)는 AI 노출 지수가 낮았다.
보고서는 “우리 사회가 AI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혜택의 크기는 근로자들의 적응력과 정책 디자인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며 “근로자에게는 기존과 다른 능력이 요구될 것이며, AI
는 반복적 업무뿐만 아니라 기존 기술로는 한계가 있는 인지적 업무까지 대체할 수 있기에 사회적 기술, 팀워크 능력, 의사소통 능력과같은 소프트 스킬이 앞으로 더 많은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AI 기술이 업무와 생활의 편리성을 가져다주지만, 소비자 후생 감소, 이윤 독점 심화 등의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도 초래할수 있는 만큼, AI가 적절한 규제 속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