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태료 부과 앞서 자발적 신고여건 조성, 과태료 수준 완화 목적

국토교통부가 주택 임대차 신고제 계도기간을 오는 6월에서 1일부터 `25년 5월 31일까지 1년 추가 연장한다. 과태료 부과에 앞서 자발적인 신고여건을 조성하고 과태료 수준도 완화하기 위함이다.

19일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계도기간 연장을 공지했다.

주택 임대차 신고제는 임대차시장 실거래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해 임차인 권리를 보호하고자 `21년 6월 1일부터 시행됐다. 다만 도입에 따른 국민부담, 행정여건 등을 감안해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 계도기간을 3년간(내달 말 종료 예정) 운영해 왔다.

이번 연장은 과태료 부과에 앞서 자발적인 신고여건을 조성하고 과태료 수준도 완화하려는 조치다.

국토부는 확정일자 부여 신청을 임대차 신고로 오인해 임대차 신고를 누락한 사례가 있어 추가 계도기간을 갖고 홍보를 강화하기로 했다.

7월부터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자리에서 임대인·임차인이 모바일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구축해 임대차 신고 편의도 높인다. 향후 안심전세앱과 모바일 신고 시스템을 연계(Link)해 임대차 신고율은 제고하고 앱 활용도는 높인다는 계획이다.

잦은 임대차거래, 주거취약계층이 많은 임대차 특성을 감안해 과태료 수준이 높다는 의견에 있자 과태료를 낮추기 위한 관련 법령 개정도 추진한다. 다만 과태료 부과 유예 결정과 관계없이 계약일로부터 30일 내 신고 의무는 여전히 유지된다. 임대차 신고 시 계약서를 제출하면 확정일자가 수수료 없이 자동으로 부여돼 적극적인 신고도 필요하다.

국토교통부 김헌정 주택정책관은 “그간 신고제가 확정일자 자동부여 등 임차인 권리보호에 기여해 왔으며 임대인·임차인 정보 비대칭 완화와 같은 순기능이 있어 더욱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계도기간 연장과 과태료 부과금 완화를 통해 국민 부담은 낮추고, 신고 편의성은 개선해 임대차 신고제에 대한 국민 수용성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