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라고 발음하면
새는 벌써 날아가고 없습니다
새가 실루엣만 남기고 사라질 때
폭설이 시작됩니다
우르르 몰려다니던 새를 좇던 바람
눈 위에 글자를 쓰는 순간
글자들이 하얗게 지워집니다
사슴의 발자국이 끝나지 않고
모든 게 느리게 흘러갈 때
슬픈 일이 지나가면 가끔은
기대하지 못한 기쁨도 왔다 갑니다
옆을 내주고 허공이 되어버린
나무들 고요에 뒤덮이는
기도보다는 노래가
길다보다는 깊다가
어울리는 여긴 어디입니까
기다려도
기다려도
와야 할 한사람이 당도하지 않고
집으로부터 점점 멀어집니다
[박정원의 시에서 시를 찾기]
한동안 드뷔시의 “달빛”에 취했던 적이 있습니다. 은은한 달빛의 애상을 베토벤의 “월광”과 함께 피아노로 다독이던 그때 그 시절이 사실은, 내 인생의 절정기였던 것 같습니다. 속내를 전하지 못했던 청춘의 달빛이 여전히 비춥니다. 김은우 시인의 시집 『만난 적은 없지만 가본 적은 있지요』(2024,한국문연)에서 “어둡고도 환한 어제로부터 달아나는 이야기”를 듬뿍 읽어낼 수 있는데, 특히 “뼈 아픈 이별의 노래”가 “매혹의 순간들”을 가만히 어루만져줍니다. 없어진 듯 늘 있는, 사라지지 않는 슬픔의 “삭월(朔月)”을 앞세우면서 말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