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식품의약품안전처 등 5개 기관, ‘위험정보 공유·활용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

26일 관세청은 서울세관에서 범부처 위험정보 공유·활용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관세청] 
26일 관세청은 서울세관에서 범부처 위험정보 공유·활용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관세청] 
[사진: 관세청]
[사진: 관세청]
서울세관에서 범부처 위험정보 공유·활용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 관련해 발언을 하고 있는 고광효 관세청장(오른쪽2번째). [사진: 관세청]
서울세관에서 범부처 위험정보 공유·활용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 관련해 발언을 하고 있는 고광효 관세청장(오른쪽2번째). [사진: 관세청]

국경단계에서 불법물품 반출입을 차단하고 사회안전과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범부처 간 위험정보 공유체제가 가동된다.

26일 관세청은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기술표준원, 무역안보관리원과 서울세관에서 ‘범부처 위험정보 공유․활용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MOU 체결식에는 고광효 관세청 청장을 비롯해 이병화 환경부 차관, 김유미 식품의약품안전처 차장, 진종욱 국가기술표준원 원장, 서정민 무역안보관리원 원장 등 5개 기관 대표 및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부처간 협약 체결은 해외직구 등을 통해 허위신고․우회수입 등 불법물품의 반출입이 증가하고 있으나, 부처 간 정보 칸막이로 적시 대응에 한계가 있어 부처 간 위험정보 공유 및 전문가 파견 등 체계적인 위험관리 필요성에서 업무협약이 이뤄졌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부처별 통관과 유통단계에서 개별 관리되던 환경제품, 식․의약품, 전략물자 등의 신고․허가 및 적발 정보, 위험 동향을 향후 부처 간 협의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공유함으로써 불법물품 반입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범부처 위험정보 통합활용 체계 구축이 행정안전부의 부처 간 협업과제로 선정됨에 따라, 부처별 사무관급 파견인력과 환경부․무역안보관리원 소속 전문가로 구성된 국민안전 협업정보팀이 올해 9월부터 출범했다.

팀원 조직원들은 관세청 관세국경위험관리센터 내 합동근무 체제로 근무하면서 범부처 위험정보를 기반으로 불법․위해물품 등을 통관 검사 대상으로 지정하는 데 참여하고 소속 부처에 위험정보를 환류하는 등 ‘촉매제’ 역할을 할 예정이다.

아울러 판매금지․리콜제품 등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품목에 대하여는 부처 간 협업을 통하여 모니터링과 합동단속 등 범정부차원의 선제적 대응을 통하여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출입 환경 조성이 강화된다.

이러한 협약을 통해 부처 간 정보 칸막이를 제거하고 범정부적인 위험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부처 간 협업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세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불법 물품 반출입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부처 간 칸막이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협업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