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근, “업무환경 개선 시급, 청년들 실질적 업무경험‧역량 쌓을수 있는 기회 제공 필요”
국세청의 청년인턴 제도가 사업의 취지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추진되면서, 다수의 국세청 청년인턴들이 중도퇴사를 하고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청년인턴 제도는 사회 진출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직무 경험과 국정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3년 시작한 정부 정책으로, 국세청은 `23년 204명, `24년 307명의 청년인턴을 채용했다.
7일 국회 기재위 소속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청년인턴 채용 및 근무 현황’자료에 따르면 `23년 채용 합격자 204명 중 수료자는 145명으로 수료율이 71.0%에 불과했고, `24년 또한 최종 합격자 307명 중 202명(65.7%)만 현재 근무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자근 의원은 “국세청과 각 세무서에서 개인정보‧보안 문제로 인턴들에게 이렇다 할 역할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년인턴들이 소통하는 메신저 단체대화방에서는 실제 서울 한 세무서에서 근무 중인 청년인턴 A씨는 “보안 때문에 업무 시킬 수 있는 게 없다고 개인 공부만 하라고 한다, 지겹다”고 밝혔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국세청 인턴은 방치 상태다, 하루 종일 앉아서 유튜브·웹툰만 보다 퇴근한다, 역대급 꿀 알바다”라는 반응들이 확인되고 있다.
한 블로그에서는 작년 금융 공기업 취업을 위해 인천 지역의 청년인턴에 도전했지만 입구에서 방문객들에게 층별 안내만 하다가 결국 중도 퇴사하기도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국세청 청년인턴 운영방안에 따르면 ‘단순 사무보조·잡무는 원칙적으로 지양, 직무역량 강화와 정책 집행 과정 경험할 수 있는 업무를 부여’하라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국세청 청년 인턴제도가 이처럼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추진되면서 인턴 제도와 업무환경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구자근 의원은 “정부의 청년 인턴제도는 청년들의 정책현장 경험과 국정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매우 의미 있는 사업”이라며 “청년들에게 실질적 업무 경험과 역량을 쌓을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