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언론보도의 빈도와 어조가 강해질수록 기업 조세회피 낮아져”
부정적인 언론보도가 증가할수록 기업의 조세회피 수준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19일 열린 `24 한국세무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에서 이선호 씨는 ‘부정적 언론보도가 기업의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의 `13년부터 `23년까지 총 11년간의 자료 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표본의 대상으로 선정한 결과, 규모가 큰 대기업의 경우에서만 부정적 언론보도와 조세회피 정도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즉, 부정적 언론보도가 증가할수록 기업의 조세회피가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업종 구분별 분석에서는 소비재 업종 중에서도 경기소비재에서 부정적 언론보도와 조세회피 정도 간의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경기소비재일수록 부정적 언론보도에 민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발제자는 “실증분석의 결과에 따라 언론보도가 부정적일수록 기업의 조세회피에 소극적임을 검증했다”며 “이는 부정적 언론보도가 조세회피 결정 요인 중에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추가분석에서 기업의 규모가 큰 대기업일수록 부정적 언론보도에 더 민감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주로 대기업들이 기타 중소기업들보다 규제 기관의 감시를 더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비추어볼 때, 부정적 언론보도가 증가하면 규제 기관이나 투자자들이 기업들의 세무리스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가능성이 크므로 기업은 보수적인 조세 전략을 채택할 수 있다는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 과정에서 부정적 언론보도가 과세당국 및 규제 기관에 이목을 끌고 이를 인지한 기업이 조세 전략을 보수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고려했으나 실제로 과세당국이나 규제 기관이 언론보도의 영향을 받는지에 관해서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점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