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수 국세청장, 직접 만든 ‘조세 분쟁의 효율적 해결방안’ 영어로 발표
“각 세정당국의 공격적 과세문제, 상호간 우호적 세정환경 중요성” 강조
‘스가타 회원국 간 이중과세 분쟁해결 포럼’ 제안…회원국들 전폭적 지지
강민수 국세청장, 베트남 국세청장과는 같은 나이로 ‘친구’로서 우정 나눠
제53차 아시아·태평양 국세청장회의(‘스가타, SGATAR’)가 지난 28일부터 31일까지 한국 서울에서 열리고 있다. 장소는 서울의 최고급 호텔 '신라호텔'이다.
매년 개최되는 스가타는 아시아 태평양의 18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국세청장 회의로, 지난 `13년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개최한 이후 11년 만의 한국 개최다.
취임 후 첫 국제회의를 개최한 강민수 국세청장은 회원국인 호주, 캄보디아, 중국, 홍콩, 인도네시아, 일본, 라오스, 마카오, 말레이시아, 몽골,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등 17개 과세당국의 수석대표와 다자 및 1:1 양자 환담을 통해 국세청장급 핫라인을 구축하고 실효성 있는 세정 협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28일 진행된 환영리셉션의 개최 장소인 신라호텔 영빈관 후정은 한국을 방문한 대표단으로 꽉 찼으며, 참석한 국세청장들은 개최국의 의장인 강민수 국세청장을 찾아와 환담을 나누었다.
강 청장은 각 과세당국 수석대표들과 일일이 직접 영어로 소통했고 우리나라 방문을 환영하며 인사를 나누었다.
대표단은 환영리셉션 행사 중 있었던 한국 전통과 K-POP을 융합한 ‘댄스타악 공연’을 보고 크게 호응했으며, 행사 중 잠깐 비가 내렸음에도 모두 자리를 지키며 열정적으로 진행된 공연을 관람했다.
이 과정에서 강민수 국세청장은 짧은 시간에도 쉴 틈 없이 외국 국세청장과 대화를 나누며 국제행사 중에서도 보기드문 글로벌 소통이라는 평을 얻었다.
행사 이튿날인 29일부터는 본격적으로 워킹그룹 별로 주요 세정 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각 국의 국세청장이 모두 참여해 발표를 진행하는 ‘수석대표회의’에서 강 청장은 직접 만든 자료를 바탕으로 ‘조세 분쟁의 효율적 해결방안’을 주제로 영어로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에서 강 청장은 “각 세정당국의 공격적 과세문제를 해결하고 상호 간 우호적 세정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스가타 회원국 간 이중과세 분쟁해결 포럼 개최’를 최초로 제안했고 회원국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특히, 강 청장은 각 국간 조세문제의 해결은 상호대결(fight)이 아닌 조화(dance)인 점을 강조해 회의 참석자들 간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29일 저녁에는 서울 남산 N타워를 방문해 각 청장들은 전망대에서 실무진도 없이 전례 없는 밀도 높은 대화를 나누었다. 강 청장은 N타워 전망대에서 각 국 도시들의 방향을 설명하며 해당 국가 국세청장들과 일일이 사진 촬영을 하는 등 공식 회의일정에 담을 수 없었던 세정외교를 펼치기도 했다. 특히, 베트남 마이 쑤언 타잉 청장과 베트남 노래의 한 구절을 부르며 베트남에 대한 세심한 관심과 우정을 표현했다.
한편, 스가타 총회의 전체회의 일정 속에서도 양자 간 회담 일정을 숨 가쁘게 진행했다.
회의 셋째 날인 30일에는 이른 아침부터 일본 국세청장과 양자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서 최근 세계 각국이 자국의 과세권을 강화해 나가는 국제적 환경 속에서 강민수 청장은 “양국 기업들이 공격적 과세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앞으로 아시아에서도 회원국들이 힘을 합쳐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과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하자”고 제안했고 양국은 이 점에 대해 깊이 공감했다.
30일에는 수석대표회의를 숨가쁘게 진행하는 도중 시간을 쪼개어 한·베트남 국세청장회의도 개최했다. 회의에서 베트남 청장은 강 청장과의 나이가 같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서로 ‘친구’라는 표현을 수 차례 꺼내며 우정을 나누었다.
양국에 진출한 현지 기업들을 보호하기 위해 과세당국이 무리한 과세를 지양하기로 했고, 특히 강 청장은 현지에 진출한 우리기업에 대해 세정상 배려를 하는 등 각별한 관심을 부탁했다.
강민수 청장은 3일간 있었던 회의 내내 특유의 친화력을 바탕으로 현지에 진출한 우리기업에 대한 우호적 조세환경을 만들기 위해 각 국세청장들과 숨가쁘게 세정외교를 펼쳤고, 회의가 마무리되는 내일(31일)까지 최선을 노력을 다하기로 하였다.
내년 스가타 개최국인 호주 롭 헤페런 국세청장은 “스가타 회의를 이보다 더 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한국이 회원국의 눈높이는 너무 높여 다음 개최국으로서 부담감을 느낀다”고도 극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