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주 강 씨 횡령 혐의, 사모펀드 한 씨 사기 혐의 각각 불구속기소

기업 운영 및 경영권 다툼이 빚은 '도덕적 해이'…경제범죄로 이어져

바디프랜드 창업주와 사모펀드 간 '이전전투구' 양상의 비위 고소·고발전은 결국 법정 공방으로 이어져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

바디프랜드는 2007년 창업 이후 강웅철 전 의장이 회사를 경영해오다 2015년 이후 두 차례 사모펀드에 회사 경영권이 넘어갔다. 2015년 사모펀드인 VIG파트너스 등이 지분 43%를 인수하며 최대주주가 됐고, 2022년 7월에는 사모펀드 스톤브릿지캐피탈과 한앤브라더스가 공동 설립한 투자목적회사(SPC) 비에프하트가 지분 46.3%를 사들여 경영권을 인수했다. 창업 때부터 경영권에 참여했던 강 전 의장은 지분 38.77%를 갖고 2대 주주로 남았다.

그러나 비에프하트 설립 6개월 만에 한앤브라더스(지분율 85%)와 스톤브릿지(지분 15%)는 경영활동 등의 이유로 갈등과 내분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강웅철 전 의장은 스톤브릿지 측에 섰다. 이에 강웅철·스톤브릿지 대 한앤브라더스의 대결구도가 만들어졌다. 강 전 의장 측과 한앤브라더스 측은 회사 경영권을 놓고 다투다가 2023년 횡령·배임 등으로 서로를 검찰에 고소하기에 이르렀다.

한앤브라더스 측은 강 전 의장이 62억원의 직무발명보상금을 횡령하고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 법인카드를 부정 사용한 혐의 등으로 지난해 검찰에 고소했다. 강 전 의장 측도 고급 호텔 스위트룸 숙박료를 법인카드로 결제한 의혹 등 회삿돈을 유용한 혐의로 한앤브라더스 대주주인 한주희 씨와 양금란 전 바디프랜드 총괄사장을 맞고소했다. 양 씨는 한앤브라더스가 바디프랜드의 경영총괄사장 겸 CFO로 파견한 한 씨의 최측근 인사다.

분쟁과정에서 한앤브라더스는 바디프랜드 업무집행사원(GP) 자격을 잃으며 경영권을 박탈당했고, 현재 스톤브릿지와 지난해 3월 경영에 복귀한 강 전 의장이 바디프랜드를 경영하고 있다. 이를 놓고 한앤브라더스 측은 소수 지분을 가진 스톤브릿지의 '쿠데타'라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중요범죄조사부(어인성 부장검사)는 지난 1월 24일 강 씨와 박상현 전 바디프랜드 대표이사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사기 등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한 씨와 양 씨도 특경법상 사기 및 변호사법위반 혐의 등으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강 씨 등이 바디프랜드를 운영하면서 본인과 장모 명의로 직무발명보상금 25억원, 고문료 등 12억원을 횡령하고, 개인 별장을 바디프랜드에 임대해 그 대가로 7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이렇게 빼돌린 회삿돈은 강 씨 가족의 고급 오피스텔 임차보증금, 고가 명품 시계 구입비, 고급 외제 차 보험료 등으로 쓰였다.

한 씨 등은 한앤브라더스 명의로 강 씨에게 310억원을 출자하겠다고 했지만, 사실상 한앤브라더스 명의로 낸 출자금 290억원 가운데 269억원은 한 씨가 강 씨를 속여 편취한 금액(107억원)과 한 씨 개인의 단기 차입금(152억원) 등 '펀드 차입금 운용' 방식으로 자기자본을 거의 들이지 않고 바디프랜드를 인수한 것으로 검찰조사에서 드러났다.

이후 한 씨 등은 강 전 의장과 함께 바디프랜드 이사들을 속여 2022년 8월 긴급자금이 필요하다며 사내대출금 명목으로 28억원을, 같은 해 10월에는 경영 자금이라며 사내대출금 명목 167억원을 편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자금 가운데 145억원은 한 씨의 차입금 변제에 쓰인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창업주인 강 씨가 개인 자산을 쓰지 않기 위해 한 씨의 사내대출금 편취 범행에 가담한 것으로 봤다.

검찰 수사는 스톤브릿지와 한앤브라더스가 합자한 SPC 비에프하트가 2022년 바디프랜드를 인수하고 경영권 다툼이 벌어지자 스톤브릿지 편에 서면서 강 전 의장과 한 회장은 서로 회삿돈 유용을 주장하며 맞고소하면서 비롯됐다. 이후 두 사람에 대해 작년 10월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모두 기각됐으며, 한 회장에 대해서는 올해 1월에도 재차 구속영장이 청구됐으나 법원에서 기각된 바 있다.

업계에서는 국내 안마의자 업계에서 1위이던 바디프랜드가 사실상 최고 경영자 자리에 있던 강 전 의장의 방만한 회사 운영이 경영권을 빼앗길 위기에 놓였고, 그 과정에서 한 씨 등의 사모펀드를 끌어들여 결국 대형 경제범죄로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또 사모펀의 기업 인수 및 운영 과정에서 드러난 도덕적 해이가 불러온 사건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편 서울중앙지법에서 지난 2일 열린 1차 공판은 피고인인 강 전 의장과 박 대표만 출석한 채 속행됐고, 한 씨와 양 씨의 공판은 기일변경으로 이달 말에 진행된다. 피고인 4명이 법정 한자리에서 각자의 입장을 변론하게 될 기회는 5월 중순이 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