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입제한 해외직구 위해식품 정보,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해외직구 식품 올바로’에서 확인 가능

관세청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지난 4주간(4월 7일~30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물품의 안전성을 집중검사한 결과, 국내 안전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어린이 제품 및 전기·생활용품 34만여 점, 해외직구 위해식품 16만여 정을 적발해 국내 반입을 차단했다.

29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작별수치는 작년 비슷한 시기에 시행한 집중검사와 비교했을 때, 어린이 제품 및 전기·생활용품은 62%(`24년 21만점), 해외직구 위해식품은 118%(`24년 7만 5000정) 가량 증가한 실적이다.

관세청은 어린이 제품 및 전기·생활용품의 경우 국가기술표준원과 협업해 유·아동용 및 가정용 선물용품 14개 품목을 집중적으로 검사했으며, 완구(16만 4000점), 유·아동용 섬유제품(1.9만 점)이 주로 적발됐다.

특히 완구 1종(7800점)에서는 국내 안전 기준치를 약 319배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성분이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대표적인 환경 호르몬(내분비계 교란 물질)으로 신체 장기간 접촉 시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특히 어린이의 생식기능이나 신체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해외직구 식품의 경우 식약처와 함께 건강식품을 집중검사하였으며, 국민건강에 위해를 줄 수 있어 식약처에 의해 반입 차단 대상으로 지정된 성분 등을 함유한 제품이 다량 적발됐다.

관세청 관계자는 “적발 제품의 상당수가 ‘집중력 향상’ 또는 ‘항산화 효과’ 등을 표방하나,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건강식품이었다”며 “성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분 등을 포함하고 있는 제품도 일부 적발되었다며, 해외직구로 건강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내 반입이 제한되는 해외직구 위해식품에 대한 정보는 식품안전나라 누리집의 ‘해외직구식품 올바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도 관세청은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국민들의 수요가 집중되는 제품을 중심으로 안전성 검사를 지속 실시해 국민 생활과 먹거리 안전보호를 위해 힘쓸 예정이다.

◆ 주요 적발 사례

□ 어린이제품 및 전기·생활용품(적발유형별)

□ 해외직구 식품(적발성분별)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