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이 최근 한앤컴퍼니를 비롯해 블랙스톤 한국법인 등 사모펀드(PEF) 운용사를 대상으로 한 대대적인 세무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지방국세청은 한앤컴퍼니, 블랙스톤, 앵커에쿼티파트너스 등 사모펀드에 서울국세청 조사4국 요원을 보내 사전 예고 없이 자료를 확보하는 등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국세청은 지난 3월 홈플러스 사태에서 번진 MBK파트너스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MBK파트너스에 부과한 세금만 400억원대다. 같은 달 국세청은 KCGI를 조사했고, 4월에는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자료도 들여다봤다.
이렇듯 최근 실시된 것으로 알려진 사모펀드에 대한 세무조사는 모두 서울국세청 조사4국에서 나섰다는 것이 특이점이다. 서울청 조사4국은 탈세나 비자금 조성 등의 혐의를 포착하고 예고 없이 조사를 시작하는 곳으로 재계에서는 ‘저승사자’라고 불린다.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도 MBK와 마찬가지로 아시아에 본사를 둔 글로벌 사모펀드고 최근 조사가 진행 중인 사모펀드도 모두 글로벌 PEF다.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는 10년 만에 조사였다. 이처럼 업계는 특별조사를 실시하는 조사4국이 국내 3대 사모펀드에 대해 모두 세무조사를 실시한 만큼 줄줄이 조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사모펀드 업계를 정조준하고 압박에 나섰다는 분석도 나온다. 민생경제에 큰 타격을 준 홈플러스 사태 이후로 시장에서는 PEF가 기업을 수익 창출 도구로 본다는 비판이 커졌고, 이재명 정부에서 초대 청장으로 취임한 임광현 국세청장은 조사통 출신답게 첫 타깃으로 사모펀드 시장을 겨냥했다는 해석이다.
특히 필드뉴스에 따르면 지난 12일 시작된 한앤컴퍼니에 대한 세무조사는 한앤컴퍼니뿐만 아니라 한앤컴퍼니홀딩스, 한앤컴퍼니인베스트먼트, 한앤컴퍼니씨에스지 등 계열사와 개인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이다.
아울러 한앤컴퍼니는 국내 사모펀드로 알려져 있으나, 그룹지분 100%를 가지고 있는 한 회장의 국적은 미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