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직은 '대기모드', 실무자는 '눈치'…정부조직법이 변수

경찰 고위 간부 인사가 예상보다 늦춰지며 뒤숭숭한 내부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치안감 이상 고위직은 자신의 거취가 달린 인사 발표를 기약 없이 대기 중이다. 새로 부임할 근무 평정권자의 눈치를 살펴야 하는 실무자도 마찬가지다.

7일 경찰에 따르면 통상 7월 말∼8월 초에는 치안총감(경찰청장) 바로 다음 고위직인 치안정감과 치안감 등의 승진 인사가 이뤄졌다. 이후 8월 중순께 전보 인사가 단행된다.

고위급 인사가 마무리되면 경무관, 총경, 일선 순으로 전보가 이어진다.

그러나 첫 단계 인사부터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경찰 내부에서는 지라시(정보지) 형태의 '받은 글'만 나돌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실무자들은 새 관리자가 올 때까지 실적 발표에 대한 속도 조절을 하면서 근무평정 '관리'에 들어갔다는 말도 나온다. 평정은 보통 연말에 이뤄진다.

경찰 관계자는 "인사가 미뤄지면서 근거 없는 소문만 증폭되고 있다"며 "고위직부터 일선까지 조직 전체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상황"이라고 했다.

인사는 이번 주 초중반 이후 이뤄질 가능성이 정부 안팎에서 흘러나온다.

분기점은 정부조직법 개정이다. 중대범죄수사청 소재를 행정안전부와 법무부 중 어디로 둘지 결론을 내린 뒤 경찰 인사 가닥을 잡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당정대(더불어민주당·정부·대통령실)는 이날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어 정부 조직 개편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차기 경찰청장 후보인 치안정감 승진 인사는 안갯속이다.

일각에서는 치안감 대부분이 윤석열 전임 정부에서 승진한 만큼 현 정부의 검증 작업이 더 까다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치안감은 계급정년 4년이 보장되지만, 치안정감은 계급정년이 따로 없다. 현재로서는 기존 치안감 중에서 승진 대상자를 추려야 하는 구조다.

지난 6월 이재명 정부 첫 고위직 경찰 인사로 치안정감 7개 자리 중 2개는 채워졌다.

유재성 경찰청 차장과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당시 치안감에서 치안정감으로 승진했다. 두 사람은 문재인 정부 말기 치안감으로 승진한 바 있다.

이런 맥락에서 김학관 충북청장이 치안정감 후보군이라는 지라시가 돌기도 했다. 김 청장은 2021년 치안감이 된 뒤 윤석열 정부에서는 승진하지 못했다.

박현수 서울청장 직무대리의 거취도 주목된다. 그는 윤석열 정부 시기인 지난 2월 직무대리로 임명됐지만 여전히 치안정감 승진 내정자 신분이다.

민주당 등 범여권은 경찰국장을 역임한 박 직무대리가 비상계엄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내정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세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