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배경 AI 확산 기조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선점이 주효
상반기 반도체 수출액 733억1000만달러 역대 최고 달성 '견인차'
내수 경기 침체에 수출 엔진마저 식어 올해 상반기 국내 경제가 뒷걸음질한 가운데서도 16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SK하이닉스가 법인세 납부액에서도 2조7000억원을 넘기며 납세 실적 1위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액 39조8711억원, 영업이익 16조6534억원을 기록해 2위 삼성전자의 11조3613억원을 큰 폭으로 앞섰다. 같은 기간 별도 기준 매출 35조4948억원, 영업이익 15조2124억원을 기록하는 등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납부한 상반기 법인세 비용은 2조7717억원에 달했다.
올해 상반기 법인세 납세 실적으로 2위인 기아(9089억원)보다 3배가 넘는 월등한 규모다. 상위 순위별로는 SK하이닉스에 이어 ▲기아 9089억원 ▲현대차 8222억원 ▲SK 6006억원 ▲한국전력 5081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1위는 한국은행이 7조818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리며 2조5782억원을 법인세를 납부했다. 다만 이번 국내 시가총액 상위 50개 기업의 반기보고서를 개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해 법인세 1위도 SK하이닉스로 확인됐다. 지난해 별도 기준 21조3314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둬 3조6307억원을 납부했다.
올해 SK하이닉스의 이 같은 성과는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수요가 폭발한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 선점이 배경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2분기 글로벌 D램 시장 점유율 39.5%로 2분기 연속 1위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국내 반도체 수출 상반기 실적을 733억1000만달러로 끌어올려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는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단기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미래 투자를 이어간 덕분에 오늘날의 HBM 신화가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재계에서는 이번 결과에서 최태원 SK 회장의 대규모 투자 결단과 미래를 보고 HBM 개발에 나선 과감한 의사 결정이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어 강력한 반도체 수출 경쟁력이 여전히 국내 산업과 세수를 지탱하고 있다고 재계는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