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청장 임광현)은 20일 내수 경제지표와 밀접한 자영업자 개업·폐업, 신용카드 등의 소비지표 자료를 관련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 매월 제공해 신속한 민생·경제 지원방안 마련 및 지역 상권 활성화 정책 수립 등 어려운 경제상황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고 밝혔다.
제공대상 경제지표는 △자영업자 개업·폐업 현황 △현금영수증 발급현황 △신용카드 사용현황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현황 △수출입 현황 등 5개 지표로서 전월 현황을 다음 달 말일에 제공할 예정이다.
행안부에서 운영하는 공동활용데이터등록관리시스템(http://sharedata. insight.go.kr)에 생산한 경제지표를 공개하여 필요한 지자체나 국가기관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아울러, 경제지표를 국세청 누리집을 통해 제공하여 정책 수립·연구 기관 등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각 지자체는 관할 지역 내 업종별 창업・폐업 및 매출 현황 등을 각종 정책수립 시 적기에 활용할 수 있으며, 매월 생산되는 경제지표가 누적된다면 향후 지역의 업종별 소비·생산·수출입 등 경기 동향을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자영업자 개업·폐업과 관련해서는 52개 업종별·252개 시군구별로 구분한 경제지표를 이용해 일자리 창출 및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 등을 수립하고, 예비 창업자에게 지역・업종 선택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현금영수증·신용카드는 소비자의 주요 결제수단으로서 자영업자 매출액 증감을 파악할 수 있는 경기 선행지표로, 8개 업태별·252개 시군구별로 구분한 경제지표를 이용해 업종・지역 간 경제 흐름 이해를 높여 자영업자 지원 정책 등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자세금계산서 자료는 사업자 간 거래증빙으로서, 14개 업태별·17개 시도별로 구분한 경제지표이며 주요 업종별・지역별 매출액 증감 현황을 분석해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 및 산업육성 정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수출입 현황은 14개 업태별·17개 시도별로 구분한 경제지표이며 업종별・지역별 수출입 증감 현황을 분석해 수출입 동향파악 및 관세정책 변동에 따른 지원 대책 마련 등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고 국세청은 설명했다.
국세청은 “생산한 경제지표를 매월 신속하게 제공하여 관련 부처 및 지자체 등이 민생·경제 회복 지원을 위한 정책을 적기에 수립·시행하고, 정책효과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경제지표를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국세통계포털을 통해 신속하게 공개하겠다”고 전했다.
